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호스팅영역
- 패키지설치에러
- 클라우드
- 버킷생성
- aiapi
- 노드버전
- Database
- iam사용자
- gpt3.5turbo
- git
- gitlab
- 웹소켓연결끊김
- GPT3.5
- nvmrc
- gptapi
- Github
- openaiapi
- 웹소켓연결
- class
- 자바
- nodejs
- Express
- 클래스
- chatGPTAPI
- ChatGPT
- db
- javascript
- java
- aws
- 웹소켓재시작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6)
IT's Jenna
패키지 npm 설치 : npm i package-name 1. xml 파싱 패키지 xml2js https://www.npmjs.com/package/xml2js 2. nodemon nodemon 기존엔 코드 수정을 할 때마다 터미널에서 스크립트를 재실행 시켜줘야했다. nodemon을 사용하면 코드 수정후 저장을 하면 자동으로 재실행이 된다. https://www.npmjs.com/package/nodemon 사이트 1. Postman nodejs에서 작성한 API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사이트 https://www.postman.com/downloads/ 2. Express nodejs 기반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expressjs.com/ko/ 본 페이지는 지속적으로 추가 업데이트 예정

라우팅이란? Url로 전달받은 path의 경로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응답하는 정보를 달리 하는 것 path는 port/ 뒤에 온다 Http Method Http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구분할 수 있는 요청 메소드를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인 요청 메소드 4가지 (CRUD API : Creat/Read/Update/Delete) 1. GET 서버의 자원(데이터)를 받기 위해 요청하는 메소드 일반적으로 어떤 홈페이지를 띄웠을 때 나오는 화면은 모두 Get method로 받아온 것 성공 시 코드 200 return 2. POST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입력할 때 요청하는 메소드 예를 들면 로그인 페이지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성공 시 코드 201 return 3. PUT 서버의 기..

1. cd ~/.ssh : ssh 키 경로를 지정하는 명령어다. 2. ssh-keygen : ssh key를 생성한다. 3. ls -al : 해당 명령어를 통해 directory에 ssh key 생성된 것을 확인한다. 아래 사진에서 id_rsa가 privite키 이고, id_rsa.pub가 public키다. 4. code . : visual studio를 실행한다. 5. id_rsa.pub 전체 내용을 복사한다. 6. Github 설정에서 새로운 SSH key 생성하여 해당 내용을 붙여넣는다. 이 때, 마지막에 enter가 붙으면 키 사용이 불가하다. 추가 공백없이 내용만 들어가게끔 주의해야 한다. 7. 모든 과정을 완료하면 하기 그림과 같이 SSH key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Git 오픈 소스 버전 컨트롤 시스템 스크립트를 관리하고 업데이트를 할 수 있는 시스템 GitHub Git 베이스의 코드 저장 플랫폼 다수의 인원이 협업할 때 코드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버전 관리가 제대로 안되거나 코드를 날릴 수도.. 이렇게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에러를 휴먼에러라고 한다. 하지만 github을 이용하면 버전별로 코드 관리가 용이하다! Repository : 코드 저장소, 프로젝트별로 스크립트를 저장할 수 있다. Branch : 저장된 코드를 버전별로 관리하는 단위, Repository 안에서 Branch를 생성해서 버전별로 관리할 수 있다. 주로 현재 작업하는 스크립트를 main branch에 저장해둔다. GitHub 자체에서 upload file을 할 수 ..

HTML 이란? 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표준 기술 중 하나 (html / css / javascript) Client인 Web browser가 인식할 수 있게끔 만들어둔 document (형식/구조가 있음) 웹 콘텐츠의 구조와 의미를 정의하고 부여하는 마크업 언어 마크업 언어 :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는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내거나 데이터의 논리적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한 규칙들을 정의한 언어 웹 브라우저 : Chrome, Safari, Internet explorer 같은 웹페이지를 표시해주는 공간 URL : 서버 주소를 노출 시키지 않도록, 웹 브라우져에서 서버에 연결하고자 할 때 쓰는 경로 DOM 구조 문서 객체 모델 (The Document..
서버란? Client가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특정 Port를 Open 해두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컴퓨터 네트워크란? 다수의 컴퓨터들을 연결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만든 형태 실제로 전 세계 바다 밑에 해저 광케이블이 연결되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게끔 만들어져 있다. 프로토콜이란? 원거리 통신 장비에서 메세지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규칙과 양식의 체계 모듈이란? 독립된 기능을 하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스크립트를 기능 단위로 쪼개는것을 모듈화라고 한다. http프로토콜이란?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WWW(인터넷)상에서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 프로토콜 TCP, UDP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사용 Port : 80 웹/앱 모..